물형석
물형석
키파(Kippa)를 쓴 유대인 부부의 대화
산지: 左 지리산 (자연석), 右 지리산 (자연석)
左 25 - 34 - 19, 右 26 - 30 - 14
처음 이 작품을 접했을 때, 수석의 품격을 느꼈던 작품이다. 여자석(女子石)은 오석(烏石) 바탕에 형질이 다른 황금색 돌이 붙어 파마하고 염색을 한 귀 부인상이 연출되어 있고, 남자석(男子石)은 유대인들이 머리에 쓰고 다니는 빵떡모자, 즉 키파(Kippa)를 쓰고 있는 것이 분명하여 아프리카 유대인을 연상시키는 형상석(形象石)이다. 이 작품은 어떻게 유대인의 형상이 한국에서 나올까? 저들은 지금 어떤 대화를 하고 있을까? 많은 생각들을 하면서 수석에 완전히 빠져들게 한 일생일석(一生一石)이라 할 수 있는 걸작이다. 어떤 장소에 전시해도 품위(品位)가 있고 기품(氣品)이 있다.
When I first came across this piece, I got to feel the elegance of viewing stones. The female stone is formed from black stone, embellished with golden stone that forms the likeness of a noble lady with permed and dyed hair. The male stone distinctly features a kippah, the traditional cap worn by Jews, suggesting the image of an African Jew. This piece prompts intriguing questions: How did representations of Jews emerge in Korea? What might this couple be discussing? It’s a captivating masterpiece that draws viewers into deep reflection, truly a once-in-a-lifetime stone. It radiates elegance and grace, no matter where it is displayed.
한국계 귀신고래 – 극경(極鯨:코쿠쿠지라)
산지: 번암천 (자연석)
28 - 70 - 19
고개를 세우는 고래, 귀신같이 사라지는 고래, 천연기념물 126호 한국계 귀신고래와 루이 앤드류스 박사 그리고 인디아나 존스…
This piece depicts a whale lifting its head and vanishing like a ghost. The Korean Ghost Whale has been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 No. 126. The piece also brings to mind Dr. Roy Chapman Andrews, who inspired the movie character Indiana Jones.
고뇌(苦惱)하는 아담
산지: 인도네시아 (자연석)
33 - 48 - 25
죄(罪)를 범(犯)한 후 하나님을 피하여 숨어서 고뇌(苦惱)하는 아담의 모습 같다. 하나님을 거역하고 그 심각성을 깨달은 인간이 고뇌(苦惱)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 작품으로 “로뎅의 생각하는 사람”과 견주어도 그 당당함이 살아있는 보기 드문 명작이다.
This piece vividly portrays Adam in deep distress, hiding from God after committing a sin. It is a remarkable masterpiece that captures the intense torment of a human grappling with the consequences of defying God. This piece exudes a dignity that stands on par with that of Rodin’s “The Thinker.”
청량리(淸凉里) 블루스
산지: 번암천(자연석)
27 - 31 - 12
피어오르는 담배 연기…
허공을 응시하는 눈빛…
밤거리 여인의 깊은 애환이 느껴지는 작품으로서 돌 속에서 이런 감정이 묻어 나오는 것이 경이롭다. 수석이 예술의 마침표라는 것을 말해두고 싶다.
Rising cigarette smoke...
A gaze fixed on the void...
This piece captures the deep sorrow of a woman on the nighttime streets. It is astounding how such profound emotions can be conveyed through a stone. This piece convinces me that viewing stones truly represent the pinnacle of art appreciation.
떡두꺼비
산지: 무주 (자연석)
45 - 40 - 28
이 작품은 무주 호피석으로서 두꺼비의 미끈덕거림이 손에 묻어 나올 것 같은 느낌의 색깔과 그 형태가 사실에 가까운 작품이다. 이 작품 또한 떡두꺼비로서는 최고의 작품이라 본다.
This piece, created from Muju tiger-pattern stone, vividly captures the toad’s slimy skin texture in such a way that it feels like it could stick to your hands. The color and shape are remarkably realistic. I believe this is the finest example of a Big Toad.
복(福) 두꺼비
산지: 지리산 (경호강 / 자연석)
56 - 35 - 34
두꺼비 모양의 형상석(形象石)으로서 형태, 질감, 색 등 수석의 요건 가운데 하나도 빠지지 않는 작품이다. 크기에 있어서도 대작으로, 복두꺼비로서는 최고의 작품이라고 본다. 이 작품은 전후좌우(前後左右) 어느 쪽도 부족한 부분이 없다. 또한 양서류(兩棲類)의 거부감도 느껴지지 않고 균형미(均衡美)도 일품이다. 명석 전에 출품되었던 작품으로 다음에 소개되는 떡두꺼비와 함께 두꺼비의 물형(物形)으로서는 더 이상 바랄 것이 없는 걸작이라고 본다.
This viewing stone, sculpted by nature into the shape of a toad, perfectly embodies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a figurative viewing stone—form, texture, and color. It is a masterpiece among large toad-shaped stones and is considered the finest of its type. The piece is flawless from every angle, including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sides. Moreover, it does not bring about the typical aversion often associated with amphibians and boasts exceptional symmetry. It was previously featured in a viewing stone exhibition and is acclaimed, alongside the upcoming “Big Toad,” as the epitome of toad-shaped stones.
백경(白鯨)
산지: 러시아 (자연석)
27 - 37 - 16
에식스(Essex)호와 허먼 멜빌을 생각하며…
이 작품의 느낌은 설명할 필요 없이 보는 그대로이다.
This piece calls to mind the Essex and Herman Melville. The emotions it evokes are self-evident and need no further explanation.
물개
산지: 지리산 (자연석)
48 - 44 - 15
물개 모양의 입석(立石)인 형상석(形象石)이다. 물개 암수 한 쌍이 서로 바라보는 작품으로서 동물이지만 자기 짝에 대한 애틋함을 어렵지 않게 느낄 수 있는 수작(秀作)이다.
These two standing stones are shaped like seals. Positioned together, they depict a male and female seal gazing at each other. Although they represent animals, the pair of stones beautifully captures the deep affection between the two.
화폐속의 여인
산지: 남전 (자연석)
10 - 18 - 10
이 작품은 구도나 여백이나 문양에서 어느 것 하나 흠잡을 데 없고 내용에 있어서도 신사임당을 연상케 하는 우아함과 여인의 정숙함을 느낄 수 있는 걸작으로서 명석 중의 명석으로 꼽힌다.
This piece is renowned for its impeccable composition, spacing, and patterns. It beautifully captures the elegance and modesty of Shin Saimdang, the revered historical figure featured on the 50,000 won banknote. It stands out as one of the most exquisite examples of viewing stones.
어머님 은혜
산지: 중국 (자연석)
15 - 16 - 6
어머니의 고마움을 느끼는 나이가 될 즘이면 대부분 어머니가 세상에 안 계신다. 이 작품은 여인이 아기를 돌보고 있는 문양석으로 어머니의 헌신적인 돌봄과 어머니의 사랑, 더 나아가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으로 자꾸 회한(悔恨)이 생긴다. 강팍한 인간을 온유하게 만드는 작품이다.
By the time we grow to fully appreciate our mother’s kindness, she is no longer with us. This piece, which depicts a woman caring for a baby, embodies a mother’s devoted care and love. It consistently stirs deep feelings of longing and regret for my mother. This piece has the power to soften even the hardest of hearts.
할머니의 기도
산지: 전주천 (자연석)
13 - 12 - 4
할머니 손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던 사람이라면 할머니에 대한 향수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기도하시는 할머니를 연상케 하는 이 작품은 격동의 세월을 살아온 할머니와 함께한 어린 시절을 생각나게 한다.
For anyone who spent their child-hood in the care of a grandmother, the sense of nostalgia is everlasting. This piece vividly conjures the image of a grandmother persevering in prayer through rain or snow, evoking memories of my childhood spent during hard times with my grandmother.
돌돔 한 마리
산지: 남한강 (자연석)
41 - 22 - 22
돌의 형상과 문양 속에 세상의 모든 것이 들어 있다는 것을 새삼 알게 해준 작품이다. 이 작품은 영락없이 “돌돔”이다. 다르게 해석할 여지가 없다.
This piece reaffirms that the shapes and patterns within a stone can encapsulate everything in the world. It is unmistakably a “rock bream,” leaving no room for any other description.
마사이족 부부
산지(女): 지리산 (자연석), 산지(男): 진안 (자연석)
(女) 13 - 24 - 18, (男) 33 - 32 - 10
봉황(鳳凰)
산지: 남전 (자연석)
30 - 34 - 13
왕과 왕후의 상징인 봉황의 문양석으로 봉황 꼬리 선(線)의 휘장(徽章)이 돌을 휘감고 있어 고급스러움이 일품이다. 평안함과 안정감을 주는 보기 드문 수작(秀作)으로 형, 질, 색 모두 흠잡을 데 없는 작품이다.
This stone is graced with the pattern of a phoenix, a symbol of royalty. The emblem, marked by the elegant curve of the phoenix’s tail, wraps around the stone, lending it a luxurious feel. It is a rare masterpiece that conveys feelings peace and stability, perfect in its shape, texture, and color.
여인의 기도
산지: 전주천 (자연석)
19 - 13 - 14
수석 작품들 가운데 유난히 여인들의 기도하는 모습이 많다. 우리 삶의 현주소이기도 하다. 이 작품은 머리모양을 보았을 때 잘사는 집 여인 같은데 그럼에도 기도할 사연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수작이다. 백석 바탕에 오석의 무늬가 들어 있는 문양의 선명함이나 여백, 머리모양과 기도하는 팔의 섬세함 등이 일품인 그야말로 흠잡을 데 없는 명석이다.
The depiction of women in prayer is notably common among many viewing stones, which reflects the realities of our lives. This piece portrays a woman who seems affluent, judging by her hairstyle, yet it shows that she too has her reasons to pray. The sharpness of the patterns on a white stone background with black stone markings, along with the delicate rendering of her hair and praying arms, renders this an impeccable masterpiece with no flaws.
강태공의 하루
산지: 전주천 (자연석)
15 -11 - 6
바늘 없는 낚시대를 드리우고 세월을 낚는 강태공이 한 폭의 한국화 같이 사실적으로 그려져 감탄을 자아내게 하는 작품이다. 강태공의 밀짚모자, 낚시터 자리, 낚시터의 경계선, 여백, 구도, 채색 등 모든 것이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어느 것 하나 나무랄 데가 없다. 마치 어느 화가의 작품을 보는 것 같아 자연의 위대함을 새삼 느낄 수 있는 명석이다.
This piece, which portrays Jiang Taigong fishing with a hookless rod as if catching time, draws admiration for its lifelike depiction reminiscent of a traditional Korean painting. Every detail—from Jiang Taigong’s straw hat, the fishing spot, to the clearly defined boundaries of the fishing area, along with the use of space, composition, and coloring—is rendered with striking realism, leaving no aspect open to critique. It is akin to viewing a masterpiece by a renowned artist, deepening one’s appreciation for the majesty of nature.
송골(松鶻)매의 눈물
1산지: 남한강 (자연석)
214 - 11 - 4
이 작품은 동물에게도 슬픔의 감정이 있고 인간과 마찬가지로 눈물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슬픈 사연이 무엇인지는 상상에 맡기고, 모든 동물에게 모성 본능이 있다는 것에서 감정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송골매의 한 방울의 눈물이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동물들에게도 사연이 있다는 것이 느껴져 자꾸 눈이 간다.
This piece shows that animals also experience sorrow and shed tears just like humans. While the reason for the sadness should be left to the imagination, it’s clear that all animals possess maternal instincts and emotions. The lifelike portrayal of a single tear from the hawk suggests that animals have their own tales to tell, drawing the viewer’s attention again and again.